학교복합시설 개념

학교 · 교육청

“다양한 시설과 프로그램을 확보할 수 있어요!”
- 수영장, 체육관, 정보센터 등 학교 교육과정 운영 및 교육활동에 꼭 필요한 시설을 외부 재원으로 교내 확보 가능
- 학생의 방과 후 학교, 취미·적성 교육, 체육문화 활동을 위한 전문적 시설 확보 및 프로그램 참여 용이

국가 · 지자체

“지역 내 물적·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해요!”
- 적정 규모의 빈 땅이 없거나 땅값이 너무 비싸 부지 확보가 어려운 경우 생활권별로 학교의 여유 부지나 지상·지하 공간 활용 가능
- 학교복합시설의 설치·운영을 위한 지역의 청년·노인 일자리 창출 및 교육·체육·문화·복지 분야의 전문적 스타트업 육성 기반 제공

지역 주민

“세대 간 교류를 촉진하고 마을공동체를 만들어요!”
- 학교복합시설의 이용과 프로그램 참가를 통해 어린이, 청소년, 어른, 노인의 세대 간 교류 촉진
- 공동 육아, 협동조합, 마을기업 등 마을공동체 형서을 지원하는 시설 기반 구축 및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

지역주민에게 주는 혜택
지역사회 공동체 생활의 구심점 기능(Community Center)
문화강좌·체력증진 등 자기계발, 도서관·컴퓨터실 등 평생학습, 보육시설 확충·주차장 등 주민편의 제공
학교의 공동 활용
학교는 외부재원으로 도서관, 체육시설 등을 확충하여 교육과정 및 방과후 학교 운영, 주 5일 수업에 대응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
학부모와 학교에 대한 관심제고와 학생 보호 기능
교육청의 예산절감
외부 재원으로 교육과정에 긴요한 체육·문화시설 확충 가능
평생학습, U-Learning을 위한 지역 거점시설 기능으로 예산절감
지방자치단체의 문화공간 확충
평생교육·체육·문화·복지 등 지역주민의 생애주기(Life Cycle)별 생활편익을 위한 One-Stop 서비스제공
학교에 주민편의 시설을 복합화함으로서 지역 중심에 부지확보 및 부지매입비를 절감
중앙정부는 국가균형 발전 효과
저출산, 고령화 추세에 따른 유대감 단절 등 사회문제 극복을 위한 공동 인프라 구축 및 지역간 교육격차 해소
토지 및 시설 등 한정된 국가자원이용의 극대화
상단으로 이동